| [논문작성법] 학술 논문 출판에서 AI는 어떻게 활용되나? | |||||||
|---|---|---|---|---|---|---|---|
| 글쓴이 | 하리스코 | 작성일 | 2024-02-07 00:43:31 | 조회수 | 16560 | ||
How AI is used in academic publishing of manuscripts?
학자들의 주요 목표는 권위 있는 학술지에 자신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것이다. 논문을 출판하는 과정은 경쟁이 치열할 뿐만 아니라 힘든 과정이기도 하다. 엘스비어(Elsevier)와 같은 학술 출판사는 매년 약 260만 건의 연구논문(research papers)을 접수한다. 편집자들(editors)과 동료 검토자들(peer reviewers)은 출판을 위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연구 논문을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AI를 활용한 논문 작성(Manuscript authoring with AI)
요즘은 Grammarly.com과 같은 AI 도구를 사용하면 연구 논문을 매우 간단하게 다듬을 수 있다. 이러한 도구는 문법(grammar) 및 구두점(punctuation)과 관련된 오류를 수정할 뿐만 아니라 문맥(context)과 관련하여 용어를 확인하는 정교한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있다. 콘텐츠 표절을 검사하는 알고리즘도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AI 도구는 iThenticate.com과 같은 소프트웨어다.
AI를 활용한 논문 이미지(Manuscript Images with AI)
대부분의 생물의학 연구 논문은 발표하는 전문 이미지를 통해 과학적 무결성(scientific integrity)을 확보한다. 대부분의 이미지는 웨스턴 블롯(Western blot)과 같은 미생물학(microbiology)이나 기술(technigues) 관련 이미지다. 이러한 이미지는 확대된 슬라이드에서 가져온 것이기 때문에 실수로 이미지가 겹칠 수도 있다. 이러한 이미지의 사진을 저장하고 중복을 방지해야 한다. 이미지가 논문에서 중복되면 저널에서 논문이 거부될 수 있으므로 이미지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연구 논문에는 여러 개의 하위 이미지(sub-images)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연구자들은 이제 AI를 사용하여 모든 하위 이미지의 진위 여부(authenticity)를 비교한다. 이미지의 무결성(integrity)을 보존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이미지의 중복을 피할 수 있다. Proofig라는 자동화된 소프트웨어는 논문 이미지에 AI를 활용한 훌륭한 사례다. 이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비전(vision)을 사용해 원고를 스캔한다. 그런 다음 모든 이미지를 몇 분 안에 비교하고, 이미지가 중복되면 이 소프트웨어는 이를 표시한다.
AI를 활용한 논문 리뷰 프로세스(Manuscript review process with AI)
동료 검토자(a peer reviewer)는 논문(manuscript)의 내용을 면밀히 분석하여 연구의 참신성(novelty)을 파악하고 연구자의 작업을 안내해야 한다. 또한 논문에 제시된 결과의 정확성도(accuracy of the results) 확인한다. 이는 많은 출판사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과정이다.
ChatGPT는 최신 인공지능 도구로, GPT-3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다. 연구자가 효율적으로 논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연구 분야와 가장 관련성이 높은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제 AI는 연구자와 편집자의 요구(needs)를 지원한다. 과학 연구(scientific research)는 AI에 의해 완전히 자동화되지는 않는다. 여전히 과학자와 출판사의 노력이 필요하다.
* 위 글은 하리스코 영문블로그 포스팅 중 'How AI is used in academic publishing of manuscripts?'을 번역한 내용임.
* 출처 : 하리스코 영문블로그 https://en.harrisco.net/blog/ 하리스코 블로그 https://blog.naver.com/harrisco99/223346514556
|
|||||||



서울대 의대
서울대 공대
연대 원주
원주의대
연대치대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성균관대학교
서강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시립대
중앙대학교
이화여대
부산대BK
경북대학교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건국대학교
동국대학교
전남대학교
국민대
단국대학교
전북대학교
충북대 BIT / BK
가톨릭대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
광운대학교
영남대학교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영남이공대학
인천대학교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동아대학교
조선대
경원대학교
제주대학교
가천의과학대학교
CHA 의과학대학교
원주대학교 의과대학
경상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경기대학교
한남대학교
국립 한국교통대학교
원광대학교
순천대학교